전체 글 6

사용자 리서치 계획을 세우기 위한 올바른 AI 사용법

개인적으로 기획이나 디자인이 막힐 때 생성형 AI를 사용하고는 한다.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와 몇 데이터를 프롬프트에 넣어주면, 꽤나 괜찮은 인사이트를 얻을 때가 많다.  하지만, 양질의 답을 얻기 위해서는 생성형 AI를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알고 사용해야 한다.   이 글은  AI를 활용해 어떻게 연구 질문을 생성하고, 연구 방법을 추천받을 수 있는지, 그리고 참여자 선정 기준을 뽑아낼 수 있는지 등 리서치 계획 전반에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는 NN Group의 글이다.  AI를 리서치에 활용할 때 참고해 보고자 번역했다.    AI를 리서치 계획에 활용하기에 앞서   생성형 AI를 사용해 리서치 계획을 작성할 때, 단순히 AI에게 프로젝트 계획을 요청하는 건 피해야 한다. 예를 들..

카테고리 없음 2024.09.26

사용자 인터뷰 전 반드시 준비해야 할 인터뷰 가이드

인터뷰 가이드가 필요한 이유    반구조화 인터뷰에서는 인터뷰 가이드(또는 토론 가이드)를 사용한다. 구조화된 인터뷰에서 사용되는 '대본'과 달리, 인터뷰 가이드는 질문 순서를 유연하게 조정하거나 일부 질문을 생략하거나 가이드에 없는 질문을 할 수 있다.  좋은 인터뷰 가이드는 참여자의 깊이 있고 자유로운 대화를 이끌어낸다. (물론 인터뷰 진행 방식도 중요하지만, 그건 다른 주제다.) 인터뷰 가이드는 짧고 열린 질문을 포함해 참여자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참여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한 이후엔 그들의 특정 행동이나 발언의 동기, 신념을 파악해야 한다. 이를 위해 신중하게 질문을 만들어야 하며, 이 질문들로 인터뷰를 이어가야 한다.  좋은 인터뷰 가이드를 구성하는 것은 어렵고 시간을 많..

카테고리 없음 2024.09.10

성공적인 사용자 인터뷰를 위한 기초 지식

제품 개발의 '발견' 단계에서, 사용자 인터뷰는 사용자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그들의 배경, 신념, 동기, 욕구, 필요 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사용자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인터뷰 방법은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나뉘며, 각기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다.     1. 구조화된 인터뷰 (Structured Interview)   구조화된 인터뷰는 사전에 정해진 질문을 그대로 모든 참여자에게 동일하게 묻는다. 이는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비교할 때 유용하지만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기 어렵다.    2. 반구조화된 인터뷰 (Semi-Structured Interview)   반구조화된 인터뷰는 사전 준비된 가이드와 개방형 질문을 바탕으로 진행하며, 추가적인 질문과 탐색..

카테고리 없음 2024.09.06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섞어서 사용하는 '혼합 연구'

*질적 연구는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정성 연구' 라는 단어로 많이 쓰고, 마찬가지로 양적 연구는 '정량 연구(Quantitative Research)' 라는 단어를 더 자주 쓴다. 이 글에서는 보다 직관적인 이해를 위해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결과만으로 연구 목적을 해결할 수 없을 때는 어떻게 해야할까? 이 경우에는 혼합 연구를 사용할 수 있다. 1. 선 질적 연구, 후 양적 연구 (Qual → Quant) 주로 관심 영역이나 대상에 대한 사전 지식이 부족할 때 사용한다.  인터뷰 같은 질적 연구로 관심 영역이나 대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이 수집한 정보에 대한 '정도'를 양적 연구로 측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니즈와 그 우선순위를 알고 싶..

카테고리 없음 2024.08.19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는 언제 써야할까?

*질적 연구는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정성 연구' 라는 단어로 많이 쓰고, 마찬가지로 양적 연구는 '정량 연구(Quantitative Research)' 라는 단어를 더 자주 쓴다. 이 글에서는 보다 직관적인 이해를 위해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연구 방법은 연구를 통해서 무엇을 이루고 싶은지에 따라 연구 방법이 달라진다. 이를 연구 목적(Research Objective)라고 부른다. 즉, 연구 목적에 따라 연구를 통해서 답해야 할 질문이 달라진다. 각 연구 방식을 언제, 왜, 어떻게 써야 하는지 그 쓰임새와 한계를 안다면, 상사의 근거 없는 리서치 지시가 떨어질 경우 반박하거나 정말 필요한 연구 방식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질적 연구 (Qualitative Resear..

카테고리 없음 2024.08.18

자이가르닉 효과를 UX 디자인에 적용한 사례와 효과

사람들은 완료된 작업보다 완료되지 않거나, 중단된 작업을 더 잘 기억한다. 누구나 끝내지 않은 일에 대한 생각을 멈출 수 없어서 고통받은 경험이 있을 것이다. 자이가르닉 효과(Zeigarnik Effect)는 완료되지 않은 일이나 과제를 완료된 일보다 더 잘 기억하는 현상을 말한다. 즉, 우리는 끝내지 못한 일에 대해 더 큰 긴장감과 흥미를 느끼고, 이를 해결하고 싶은 욕구를 강하게 느낀다. 자이가르닉 효과는 마케팅, 교육,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한다. 그렇다면 UX에서는 이를 어떻게 적용하는지 알아보자.  목표를 향한 진행 상황을 제공하면 사용자는 그 작업을 완료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프로그래스 바(Progress Bar)는 사용자에게 진행 중인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

카테고리 없음 2024.08.10